제목이 '인구와 투자의 미래'인 이 도서는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와 인구절벽을 계기로 한국 자산시장, 특히 부동산시장이 붕괴되며 일본형 장기 불황에 접어들 것이라는 주장에 반대하는 근거를 제시하는 책이다.
이 책이 제시하는 통계를 읽다보면 일본도 인구 절벽 보다는 일본 정부의 잘못된 정책에 의해 90년대 부터의 장기 불황이 발생했으며, 2007년 금융위기 가 발생한 미국은 일본의 실수를 발판삼아 시기적절한 금리인하와 양적완화 정책으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아서 빠른 시기내에 경제 회복을 이룰 수 있었다.
다양한 분석과 함께 우리나라에 대한 4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적어도 10년 내에는 한국 경제가 인력 부족 충격으로 성장률이 급락할 가능성은 낮다.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 시기를 늦추는 한편, 선진국 대비 낮은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더 상승할 잠재력이 있다.
- '노동 공급 과잉'의 시기에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적어도 10여년 동안은 가용할 노동력이 넘쳐흐르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출산율을 높이는 정책(ex. 고학력 여성의 결혼 기피 현상 대처)으로 15년, 20년 이후에는 다시 생산활동인구가 증가할 수 있다.
- 한국은 내수 비중이 적은 경제이기에 수출 동향에 늘 신경을 써야 한다.
- 한국 자산시장이 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 부동산 및 주식 등의 자산시장은 여전히 값이 싸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한국의 주식이나 부동산 등 고수익 자산에 투자를 늘리는 한편으로 해외 자산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자산을 증식하고 노후를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한다. 우리나라 경제와 타 국가간이 관계, 투자에 대한 견해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재미있게 빠져 들었던 것 같다.
개인적인 평점은 ★★★☆
'문화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 노인과 바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 (0) | 2018.02.14 |
---|---|
(도서) EBS 특별기획 통찰 (0) | 2018.02.11 |
(도서) 이나모리 가즈오의 인생을 바라보는 안목 (0) | 2018.02.05 |
(도서) 백만불짜리 습관 / 브라이언 트레이시 (0) | 2018.02.03 |
(도서) 우아한 관찰주의자 / 에이미 E. 허먼 (0) | 2018.02.02 |